| 
			
				
					| 회색 배경의 체크박스가 비활성화 된 강좌는 인원이 제한되거나 등록이 마감된 강좌입니다. 출석에 결원이 발생할 경우 수강이 가능하오니 관리자에게 문의(예비등록)하세요 |  
					|  |  
			
			
				
					| 접수중인 강좌의 해설 | 기간 : 2025년 06월 30일 ~ 2025년 08월 31일 |  
				
					| 기간 : 2025년 06월 30일 ~ 2025년 08월 31일 |  
				
				
					
						
						
						
						
					 
						| 문인들의 「초서간찰」 초서 읽기 연습, 문인들의 「초서간찰」
 | 金松子 (백천서당 원장)
 | 목 14:00~16:30
 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초서는 역사적으로 사회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었던 문자입니다. 이번 특강에는 문인들 간에 주고 받은 간찰을 통해 초서의 자형을 쉽게 이해하고, 아울러 서찰의 형식과 내용 및 당시 문화도 탐색해 보는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초서는 역사적으로 사회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었던 문자입니다. 이번 특강에는 문인들 간에 주고 받은 간찰을 통해 초서의 자형을 쉽게 이해하고, 아울러 서찰의 형식과 내용 및 당시 문화도 탐색해 보는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|  |  
						| 난세에 왕도를 추구하는 맹자
 | 權卿相 (동방한문연수원 원장)
 | 월 금 10:00~12:30
 | 16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맹자는 한문문리 터득을 위한 기본 과목으로 문법구조, 문맥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현대인의 교양으로써 한문고전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 또한 ‘어떻게 해야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을까?’라는 시대의 사명을 짊어지고자 한 맹자의 인간 본성, 정치, 사회변화와 같은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맹자는 한문문리 터득을 위한 기본 과목으로 문법구조, 문맥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현대인의 교양으로써 한문고전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 또한 ‘어떻게 해야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을까?’라는 시대의 사명을 짊어지고자 한 맹자의 인간 본성, 정치, 사회변화와 같은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. |  |  
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 당시삼백수
 | 姜志喜 (한림대 강사)
 | 금 14:00~16:30
 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로 꼽히는 《당시삼백수》를 함께 읽고 감상하는 강독 강좌입니다. 이백, 두보, 왕유 등 당대 대표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, 시에 담긴 역사와 문화, 자연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. 고전시의 표현 기법과 번역의 의미까지 아우르며, 오늘날에도 울림을 주는 고전의 힘을 체험합니다. 시를 통해 옛 사람의 정서에 공감하고, 우리의 언어 감각을 더욱 깊고 섬세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본 강의는 2학기까지 계속 진행 될 예정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로 꼽히는 《당시삼백수》를 함께 읽고 감상하는 강독 강좌입니다. 이백, 두보, 왕유 등 당대 대표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, 시에 담긴 역사와 문화, 자연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. 고전시의 표현 기법과 번역의 의미까지 아우르며, 오늘날에도 울림을 주는 고전의 힘을 체험합니다. 시를 통해 옛 사람의 정서에 공감하고, 우리의 언어 감각을 더욱 깊고 섬세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본 강의는 2학기까지 계속 진행 될 예정입니다. |  |  
						| 현재와 미래를 보는 지혜의 눈 주역전의
 | 崔英辰 (성균관대 명예교수)
 | 월 14:00~16:30
 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는 우리나라 규장각에서 사용한 책으로, 정이천의 《역전(易傳)》과 주자의 《본의(本義)》를 합친 책입니다.주역의 원리는 태극(太極)에서 음양(陰陽)으로, 음양에서 사상(四象)으로, 사상에서 8괘(卦)로, 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이루어져 있습니다. 본 강의는 원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적 감각으로 소통하며, 현대 우리 삶에 대해 역학적 관점에서 통찰해보면서 좋은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는 우리나라 규장각에서 사용한 책으로, 정이천의 《역전(易傳)》과 주자의 《본의(本義)》를 합친 책입니다.주역의 원리는 태극(太極)에서 음양(陰陽)으로, 음양에서 사상(四象)으로, 사상에서 8괘(卦)로, 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이루어져 있습니다. 본 강의는 원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적 감각으로 소통하며, 현대 우리 삶에 대해 역학적 관점에서 통찰해보면서 좋은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 |  
						| 첩경으로 읽는 소학
 | 元周用 (성균관대 연구교수)
 | 화 14:00~16:30
 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사서(四書)로 들어가기 전에 읽었던 기본 교양서이면서 유가의 중요경전으로 인식되었던 《소학집주(小學集註)》를 통해 한문 독해의 방법을 터득하고, 아울러 본격적으로 한문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한문학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자 합니다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사서(四書)로 들어가기 전에 읽었던 기본 교양서이면서 유가의 중요경전으로 인식되었던 《소학집주(小學集註)》를 통해 한문 독해의 방법을 터득하고, 아울러 본격적으로 한문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한문학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자 합니다 |  |  
						| 사서 이해의 디딤돌(주부반) 사서독해첩경
 | 元周用 (성균관대 연구교수)
 | 목 10:00~12:30
 | 10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《사서독해첩경》 은 한문 공부의 기본이 되는 사서를 공부하기 위해 기본패턴을 통한 구문을 이해하고, 구문의 이해를 통해 사서에 담긴 사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강좌입니다. <한문독해기본패턴>에서 익힌 기초를 사서 문장에 적용하고, 본격적으로 사서 입문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《사서독해첩경》 은 한문 공부의 기본이 되는 사서를 공부하기 위해 기본패턴을 통한 구문을 이해하고, 구문의 이해를 통해 사서에 담긴 사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강좌입니다. <한문독해기본패턴>에서 익힌 기초를 사서 문장에 적용하고, 본격적으로 사서 입문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 |  |  
						| 한국 고문서 경주 최부자가 사는 길
 | 安承俊 (한국국학진흥원 강사)
 | 월 14:00~16:30
 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근대화를 선도한 혁신 유림(儒林)이 남긴 고문서를 통해 진정한 한국의 근현대사를 읽습니다. 현존하는 인문분야 문자자료의 경우 인쇄 간행된 자료는 10% 미만이고 90% 이상이 한자로 된 필사본 자료입니다. 전통향교에서의 기초 한문교육에서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고문서와 그 기본문자인 초서를 강의하고자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근대화를 선도한 혁신 유림(儒林)이 남긴 고문서를 통해 진정한 한국의 근현대사를 읽습니다. 현존하는 인문분야 문자자료의 경우 인쇄 간행된 자료는 10% 미만이고 90% 이상이 한자로 된 필사본 자료입니다. 전통향교에서의 기초 한문교육에서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고문서와 그 기본문자인 초서를 강의하고자 합니다. |  |  
					
					
						| 문인들의 「초서간찰」 초서 읽기 연습, 문인들의 「초서간찰」
 |  
						| 金松子 (백천서당 원장)
 |  
						| 목 14:00~16:30
 |  
						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초서는 역사적으로 사회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었던 문자입니다. 이번 특강에는 문인들 간에 주고 받은 간찰을 통해 초서의 자형을 쉽게 이해하고, 아울러 서찰의 형식과 내용 및 당시 문화도 탐색해 보는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초서는 역사적으로 사회생활 속에서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널리 활용되었던 문자입니다. 이번 특강에는 문인들 간에 주고 받은 간찰을 통해 초서의 자형을 쉽게 이해하고, 아울러 서찰의 형식과 내용 및 당시 문화도 탐색해 보는 재미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|  |  
						| 난세에 왕도를 추구하는 맹자
 |  
						| 權卿相 (동방한문연수원 원장)
 |  
						| 월 금 10:00~12:30
 |  
						| 16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맹자는 한문문리 터득을 위한 기본 과목으로 문법구조, 문맥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현대인의 교양으로써 한문고전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 또한 ‘어떻게 해야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을까?’라는 시대의 사명을 짊어지고자 한 맹자의 인간 본성, 정치, 사회변화와 같은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맹자는 한문문리 터득을 위한 기본 과목으로 문법구조, 문맥파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고 현대인의 교양으로써 한문고전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. 또한 ‘어떻게 해야 모두가 인간답게 살 수 있을까?’라는 시대의 사명을 짊어지고자 한 맹자의 인간 본성, 정치, 사회변화와 같은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할 수 있는 과목입니다. |  |  
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 당시삼백수
 |  
						| 姜志喜 (한림대 강사)
 |  
						| 금 14:00~16:30
 |  
						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로 꼽히는 《당시삼백수》를 함께 읽고 감상하는 강독 강좌입니다. 이백, 두보, 왕유 등 당대 대표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, 시에 담긴 역사와 문화, 자연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. 고전시의 표현 기법과 번역의 의미까지 아우르며, 오늘날에도 울림을 주는 고전의 힘을 체험합니다. 시를 통해 옛 사람의 정서에 공감하고, 우리의 언어 감각을 더욱 깊고 섬세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본 강의는 2학기까지 계속 진행 될 예정입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중국 고전시의 정수로 꼽히는 《당시삼백수》를 함께 읽고 감상하는 강독 강좌입니다. 이백, 두보, 왕유 등 당대 대표 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, 시에 담긴 역사와 문화, 자연과 인생에 대한 성찰을 살펴봅니다. 고전시의 표현 기법과 번역의 의미까지 아우르며, 오늘날에도 울림을 주는 고전의 힘을 체험합니다. 시를 통해 옛 사람의 정서에 공감하고, 우리의 언어 감각을 더욱 깊고 섬세하게 다듬어보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. 본 강의는 2학기까지 계속 진행 될 예정입니다. |  |  
						| 현재와 미래를 보는 지혜의 눈 주역전의
 |  
						| 崔英辰 (성균관대 명예교수)
 |  
						| 월 14:00~16:30
 |  
						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는 우리나라 규장각에서 사용한 책으로, 정이천의 《역전(易傳)》과 주자의 《본의(本義)》를 합친 책입니다.주역의 원리는 태극(太極)에서 음양(陰陽)으로, 음양에서 사상(四象)으로, 사상에서 8괘(卦)로, 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이루어져 있습니다. 본 강의는 원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적 감각으로 소통하며, 현대 우리 삶에 대해 역학적 관점에서 통찰해보면서 좋은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《주역전의(周易傳義)》는 우리나라 규장각에서 사용한 책으로, 정이천의 《역전(易傳)》과 주자의 《본의(本義)》를 합친 책입니다.주역의 원리는 태극(太極)에서 음양(陰陽)으로, 음양에서 사상(四象)으로, 사상에서 8괘(卦)로, 8괘를 거듭하여 64괘가 이루어져 있습니다. 본 강의는 원전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적 감각으로 소통하며, 현대 우리 삶에 대해 역학적 관점에서 통찰해보면서 좋은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|  |  
						| 첩경으로 읽는 소학
 |  
						| 元周用 (성균관대 연구교수)
 |  
						| 화 14:00~16:30
 |  
						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사서(四書)로 들어가기 전에 읽었던 기본 교양서이면서 유가의 중요경전으로 인식되었던 《소학집주(小學集註)》를 통해 한문 독해의 방법을 터득하고, 아울러 본격적으로 한문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한문학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자 합니다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사서(四書)로 들어가기 전에 읽었던 기본 교양서이면서 유가의 중요경전으로 인식되었던 《소학집주(小學集註)》를 통해 한문 독해의 방법을 터득하고, 아울러 본격적으로 한문을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전반적인 한문학의 기본 소양을 함양하고자 합니다 |  |  
						| 사서 이해의 디딤돌(주부반) 사서독해첩경
 |  
						| 元周用 (성균관대 연구교수)
 |  
						| 목 10:00~12:30
 |  
						| 10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《사서독해첩경》 은 한문 공부의 기본이 되는 사서를 공부하기 위해 기본패턴을 통한 구문을 이해하고, 구문의 이해를 통해 사서에 담긴 사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강좌입니다. <한문독해기본패턴>에서 익힌 기초를 사서 문장에 적용하고, 본격적으로 사서 입문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《사서독해첩경》 은 한문 공부의 기본이 되는 사서를 공부하기 위해 기본패턴을 통한 구문을 이해하고, 구문의 이해를 통해 사서에 담긴 사상을 이해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강좌입니다. <한문독해기본패턴>에서 익힌 기초를 사서 문장에 적용하고, 본격적으로 사서 입문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 |  |  
						| 한국 고문서 경주 최부자가 사는 길
 |  
						| 安承俊 (한국국학진흥원 강사)
 |  
						| 월 14:00~16:30
 |  
						| 12만원 (전화문의요망)
 |  
						| 
							
						
								| 근대화를 선도한 혁신 유림(儒林)이 남긴 고문서를 통해 진정한 한국의 근현대사를 읽습니다. 현존하는 인문분야 문자자료의 경우 인쇄 간행된 자료는 10% 미만이고 90% 이상이 한자로 된 필사본 자료입니다. 전통향교에서의 기초 한문교육에서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고문서와 그 기본문자인 초서를 강의하고자 합니다. |  
						
							
								| 근대화를 선도한 혁신 유림(儒林)이 남긴 고문서를 통해 진정한 한국의 근현대사를 읽습니다. 현존하는 인문분야 문자자료의 경우 인쇄 간행된 자료는 10% 미만이고 90% 이상이 한자로 된 필사본 자료입니다. 전통향교에서의 기초 한문교육에서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의 연구 경험을 토대로 고문서와 그 기본문자인 초서를 강의하고자 합니다. |  |  |